운동치료: 근골격계 물리치료의 효과와 방법 2편

근골격계 물리치료:
허리디스크, 관절염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근골격계 질환은 관절, 인대, 근육, 뼈 등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대표적인 예로 허리디스크(추간판 탈출증)와 관절염이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은 통증을 유발하고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주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본 글은 근골격계 물리치료의 효과와 방법 2편으로 운동치료의 종류와 질환별 적용에 대해 소개합니다.

근골격계 질환과 근골격계 물리치료의 장점, 도수치료에 관한 내용은 1편을 참고해주세요. 바로가기

1. 운동치료 VS 운동처방

물리치료사가 행하는 운동치료(Physical Therapy Exercise)와 운동처방사 또는 스포츠 트레이너가 행하는 운동처방(Kinesiology/Exercise Prescription)은 모두 신체 기능 개선을 목표로 하지만, 접근 방식과 적용 대상에 차이가 있습니다.

운동치료

1) 물리치료사가 진행하는 운동치료

✔ 주요 목적

  • 재활 치료통증 완화, 기능 회복
  • 수술 후 회복, 부상 예방 및 치료
  • 신경·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운동 기능 향상

✔ 적용 대상

  • 근골격계 질환 (요통, 무릎 관절염, 오십견 등)
  • 신경계 질환 (뇌졸중, 척수 손상, 파킨슨병 등)
  • 수술 후 회복기 환자 (인공관절 치환술, 척추 수술 등)

✔ 특징

  • 의사의 진단 및 처방 하에 진행 (의료법 내 재활치료 범위 포함)
  • 환자의 통증 조절 및 기능 회복을 위한 수동적·능동적 운동치료 시행
  • 다양한 치료기법과 함께 적용 (도수치료, 전기치료, 고주파/초음파치료 등)
  • 근골격계 및 신경계 기능 평가 후 맞춤형 재활 운동 프로그램 제공

2) 운동처방사/트레이너가 진행하는 운동처방

✔ 주요 목적

  • 건강 증진, 체력 향상, 만성질환 예방
  • 비만, 고혈압, 당뇨 등 대사성 질환 개선
  • 운동선수 및 일반인의 신체 능력 향상

✔ 적용 대상

  • 건강한 일반인 (운동 부족 해결, 체력 증진)
  • 만성질환자 (당뇨, 고혈압, 심혈관 질환 관리)
  • 스포츠 선수 (퍼포먼스 향상, 부상 예방)

✔ 특징

  • 운동을 통한 예방과 건강 증진, 신체 조절 능력 향상이 목표
  • 스포츠 과학 기반의 체계적인 운동 프로그램 설계
  • 심폐 지구력, 근력, 유연성, 균형 능력 등을 평가하고 운동 프로그램 제공
  • 의료적 개입이 아닌 생활 속 운동 습관 형성에 초점(의료법 내 치료행위에 포함되지 않음)

2. 근골격계 물리치료의 종류 – 운동치료

  • 스트레칭(Stretching): 스트레칭은 근육과 관절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부상을 예방하는 치료 기법입니다. 정적 스트레칭과 동적 스트레칭으로 나뉘며, 관절 가동 범위를 증가시키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적용 질환:
✔ 허리 디스크 – 허리 주변 근육 스트레칭을 통해 척추 압박 완화 및 유연성 향상
✔ 목 디스크 – 경추부 스트레칭을 통해 목 근육의 긴장 해소 및 통증 감소
✔ 오십견 – 어깨 가동성 증가를 위한 정적 스트레칭 및 유착 조직 이완
✔ 고관절 구축 – 고관절 주변 근육과 인대를 늘려 관절 가동성 증가
✔ 좌골신경통 – 좌골신경 주변 근육 스트레칭을 통해 신경 압박 완화

  • 근력운동(Strength Training): 근력운동은 근육을 강화하고 신체 기능을 개선하는 치료 방법으로, 저항을 활용한 훈련이 포함됩니다. 신경근 조절을 향상시키고 관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특히, 근력강화 및 재활 운동치료에 효과적인 슬링 운동치료(Sling Exercise)는 체중을 이용한 부드러운 저항 운동으로, 근육 협응력과 안정성을 강화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흔히 불안정한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하여 신경근 조절을 향상시킵니다.

적용 질환:
✔ 무릎 관절염 및 재활치료 – 하지 안정성 확보 및 운동 기능 회복
✔ 만성 허리 통증 및 허리디스크 – 코어 근육 활성화를 통한 척추 지지력 향상
✔ 회전근개 파열 – 어깨 안정성 회복을 위한 회전근 강화
✔ 척추 측만증 – 근력 불균형 조정을 통한 체형 개선
✔ 근위축증 – 근육량 유지 및 기능 회복

  • 소도구 운동(Small Equipment Exercise): 소도구 운동은 세라밴드, 짐볼, 폼롤러 등의 도구를 활용한 운동으로, 가벼운 저항이나 불안정한 환경을 통해 근력 및 균형 감각을 향상시키는 치료 방법입니다.
보수 운동치료
보수볼을 이용한 발목재활 운동치료

적용 질환:
✔ 발목 염좌 – 밸런스 패드를 이용한 균형 감각 향상
✔ 손목 터널 증후군 – 세라밴드를 활용한 손목 강화 운동
✔ 테니스 엘보 – 전완근 강화 및 염증 완화
✔ 근막통증 증후군 – 폼롤러를 이용한 근막 이완
✔ 균형 장애 – 짐볼을 활용한 체간 안정화 운동

  • 재활 필라테스(Rehabilitation Pilates): 재활 필라테스는 신체의 코어 근육을 강화하고 정렬을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는 운동으로, 균형과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재활 치료의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필라테스와는 접근 방식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 필라테스가 건강한 사람들의 체형 교정과 운동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면, 재활 필라테스는 부상 후 회복이나 만성 통증 완화를 위해 재활필라테스 전문 지도사 또는 물리치료사의 지도하에 진행됩니다. 여기에는 신경과 근육 간의 올바른 협응을 유도하는 신경-근육 재교육(NM Re-education) 방식이 포함됩니다. 이는 허리 디스크, 무릎 손상, 어깨 불균형 등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움직임 패턴을 보이는 환자들에게 정확한 움직임을 되찾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 적용 질환:
✔ 척추 측만증 – 리포머를 활용한 균형 조정 및 자세 교정
✔ 골반 불균형 – 골반 정렬 개선 및 기능 향상
✔ 허리 통증 – 코어 안정성 증가 및 척추 부담 감소
✔ 자세 불균형 – 신체 정렬 조정 및 균형 개선
✔ 만성 근육 긴장 – 근육 이완 및 유연성 향상

근골격계 물리치료 3편 (장비치료) 보러가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